[잡포스트] 김민수 기자 =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중 직업 교육을 받거나 취업 준비를 하지 않고 '그냥 쉰' 청년이 8만2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 및 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지난 5월 기준 23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가장 큰 수치다.
이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그냥 쉰' 청년이었다. 미취업 기간 동안 주된 활동으로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응답한 청년은 8만2000명으로 34.2%를 차지했다.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3명 중 1명이 구직을 위한 어떠한 활동도 하지 않은 채 그냥 시간을 보낸 것이다.
다음으로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했다 28.9%(6만9000명) ▲육아·가사 14.8%(3만5000명) ▲진학 준비 4.6%(1만1000명) 등의 응답이 있었다.
미취업 기간별로 봤을 때 '그냥 쉰' 청년 비중은 3년 이상에서 가장 높았다. '그냥 쉬었다'는 응답은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20.5%에서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26.4%로 상승했다.
1년 이상~2년 미만에서는 20.6%로 비중이 줄었다가 2년 이상~3년 미만은 30.3%, 3년 이상일 때 34.2%로 상승했다. 학교 졸업 후 3년이 지나도록 구직을 하지 못하면 취업 활동을 포기하는 청년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중 '그냥 쉰' 청년은 2021년 9만6000명에서 2022년 8만4000명, 2023년 8만명으로 점차 감소하다 올해 8만2000명으로 늘어남에 따라 증가세로 전환했다.
'청년 구직 단념자' 수치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 단념자는 12만179명으로 지난해 동기간(10만8525명)보다 약 1만1000명이 증가했다. 이는 낮은 임금, 불안정한 근로조건 등 청년들이 구직 활동을 포기하고 '쉬었음' 상태로 머물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조규준 한국노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정부 지원의 실제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립청년에 대한 보다 세밀한 지원이 필요하며 청년들을 당장 취업 현장에 투입하는 데 목적을 두기보다는 심리적 회복과 더불어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한 후에 취업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